WEB/React

· WEB/React
Element컴포넌트를 이루는 단위로, 인스턴스와는 다른 개념입니다!한 번 생성되면 변경될 수 없습니다.화면에 보여줄 내용을 DOM 노드나 컴포넌트로 설명하는 객체입니다.Element는 다른 Element를 prop으로 가질 수 있습니다.리액트 element는 적은 비용으로 생성 가능합니다.컴포넌트에서 리턴 받아 element를 사용합니다.props, type 라는 2개의 필드로 구성됩니다.Component컴포넌트는 element보다 다른 여러 방법으로 선언 가능합니다.render() 메서드를 가진 클래스 또는 function으로도 생성 가능합니다. 두 경우 모두 입력값을 props로 받고, JSX 트리를 결과로 반환합니다. 컴포넌트?UI 조각들을 컴포넌트라고 합니다.컴포넌트의 장점은 재사용성으로, 컴포..
· WEB/React
Shadow DOM주로 웹 컴포넌트에서 CSS와 변수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해 설계된 브라우저 기술입니다. 반면 가상 DOM은 브라우저 API 위에 JS 라이브러리로 구현된 개념입니다.웹 컴포넌트에서 Shadow DOM의 역할DOM API 자체는 캡슐화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스타일 요소들이 다른 트리 요소로 유출될 수 있어서 커스텀 요소를 만들기 어렵고 id가 다른 요소 간에도 겹칠 수 있다. 따라서 Shadow DOM은 마크업 구조, 스타일, 동작 등을 숨겨서 다른 코드와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캡슐화를 허용해서 shadow DOM 내부 코드가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Referenceshttps://leeproblog.tistory.com/185
· WEB/React
리액트란React (aka React.js or ReactJS) is an open-source front-end JavaScript library that is used for building composable user interfaces, especially for single-page applications. It is used for handling view layer for web and mobile apps based on components in a declarative approach.정리하면,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때 사용되며, 특히 SPA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많이 사용된다.composable software?모듈로 시스템 구조를 만드는 방식리액..
· WEB/React
책을 통해서 정말 처음 본 훅인데, 재미있는 점은 프로덕션 웹서비스에서 쓰이지 않고, 개발 과정에서 디버깅을 위해 사용하는 훅이라는 점이다. hooks 내에 label을 붙일 수 있는 것인데, 어떤 훅이 쓰이는지 파악할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사용자 훅 내부 내용 정보를 남길 수 있는 훅이고, 다른 훅의 내부에서만!! 실행 가능하다. 사용 방법 useDebugValue(value, format?) - 여기서 value는 개발자도구에 찍고 싶은 값 - format은 포맷팅 함수로, value를 어떻게 포맷팅할지를 나타낸다. - 반환값은 없다! // 현재 시간을 반환하는사용자 정의 훅 function useDate) { const date = new Date() // useDebugValue로디버깅정보를기록..
· WEB/React
리액트에서 최적화를 위해 쓰이는 대표적인 메모이제이션 기법들인 useMemo, useCallback, 그리고 고차 컴포넌트 memo. 렌더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들인데, 언제 어떻게 얼마나 자주 쓰는 것이 좋은지 대답하기가 어렵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뉜다. 메모이제이션에 대한 두 가지 입장 입장 1. 메모이제이션은 정말 필요한 곳에서만 메모이제이션도 결국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곳에 최적화를 하겠다고 메모이제이션을 남발하게 되면 섣부른 최적화(premature optimization/memoization)로 인해 메모이제이션을 통한 성능 개선 정도 < 렌더링 비용일 수도 있다. 따라서 렌더링이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해서 필수적인 ..
· WEB/React
JSX XML과 유사한 내장형 구문이고 페이스북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문법이다. 즉, ECMAScript(자바스크립트 표준)의 일부가 아니다. 따라서 JSX를 바로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하고, 꼭 트랜스파일러를 통해 JS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 JSX에 트리 구조로 표현할 것들을 작성해두면 트랜스파일을 통해 JS가 이해 가능한 코드로 변경하는 것이 JSX의 목표이다. 이전에 JS 내부에서 표현하기 까다로웠던 XML 스타일 트리 구문 작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문법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JSX의 4가지 컴포넌트 1. JSXElement JSX의 가장 기본 요소. 마치 HTML의 element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JSXElement의 형태 종류 JSXOpeningElement: 여는 태그 느낌..
· WEB/React
이제는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찾기 힘들 만큼, 타입스크립트는 선택보다는 필수에 가까워지고 있는 느낌이다. 타입스크립트가 2014년 출시되었지만 2021년 기준 어느새 4위를 기록하고 있는 언어가 될 수 있게 한 TS만의 매력은 무엇일까? 타입스크립트의 특징 TypeScript is JavaScript with syntax for types.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언어이다. 따라서 JS는 런타임에만 타입 체크가 가능하다. 즉, 코드를 실행해서 에러가 났을 때 비로소 타입 에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타입스크립트는 JS의 문법에 타입을 추가해 이런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타입 체크를 정적으로 빌드(트랜스파일) 타임에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훨씬 안전하고 버그를 예방할..
· WEB/React
이름이 굉장히 생소한 처음 보는 hook이었던 useImperativeHandle..! 책에서도 이 훅은 실제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useRef와 관련지어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먼저 forwardRef에 대해 살펴보자. React.forwardRef useRef에서 반환한 객체인 `ref`는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직접 props로 넣어 전달하는 것이 불가하다. 따라서 예약어로 지정되어 있는 ref 대신 다른 이름을 붙여 전달하면 되는데, 네이밍이 계속 달라지게 되니 일관성이 부족하고 어떤 값을 전달하고 있는 것인지 그 의미가 잘 와닿지 않는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forwardRef다. const ChildCompone..
· WEB/React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훅(hook)은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가능하던 핵심 기능들을 함수에서도 가능하게 했고, 간결하게 작성이 가능해 중요한 개념이다. 1. 기본 사용법 import {useState } from 'react'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 -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undefined - 반환값은 배열로, state 값 자체와 setState 함수로 state 값을 변경할 수 있다. 2. 작동 원리 - 리액트의 렌더링은 함수형 컴포넌트 return, 클래스형 컴포넌트 render 함수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이전 리액트 트리와 비교해 변화가 있어 리렌더링이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함수형 컴포넌트는 함수..
· WEB/React
클로저는 함수형 컴포넌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개념이다. 1. 클로저란? - 코드가 작성된 순간 정적으로 결정되는, 선언 위치와 관련된 "어휘적 환경"을 조합해 코딩하는 기법이다. (함수와 함수가 선언된 어휘적 환경 (Lexical Scope)의 조합) -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중시되는 부수효가가 없고 순수한 컴포넌트 만들기를 위해 사용된다. 2. 스코프 - 변수의 유효 범위를 의미한다. 1) 전역 스코프 - 전역 레벨에 선언하는 것으로, 어디서든 호출이 가능하다. - 브라우저 환경 : window - Node.js 환경: global 2) 함수 스코프 - JS는 기본적으로 함수 스코프를 따른다. - 가장 가까운 스코프에서 변수가 존재하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3. 클로저 활용하기 - 클로저를 잘 활용하면 ..
jimyu
'WEB/React'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