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란React (aka React.js or ReactJS) is an open-source front-end JavaScript library that is used for building composable user interfaces, especially for single-page applications. It is used for handling view layer for web and mobile apps based on components in a declarative approach.정리하면,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때 사용되며, 특히 SPA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많이 사용된다.composable software?모듈로 시스템 구조를 만드는 방식리액..
웹
Web StandardsWeb standards are the technologies we use to build websites. These standards exist as long technical documents called specifications, which detail exactly how the technology should work. - MDN 웹 표준은 간단하게 표현하면 웹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하는 기술을 표준화한 것입니다. 이 표준은 문서화되어 있고, 어떤 식으로 기술이 작동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웹 표준은 웹사이트를 이루고 있는 HTML, CSS, JS왁 같은 요소들이 표준화된 방식으로 작성되어 어떤 환경에서도 화면을 동일하게 볼 수 있도록 합니다.웹 표준..
모듈이란여러 기능에 관련된 코드가 모여 있는 하나의 파일모듈의 장점유지보수성네임 스페이스화재사용성JS에서의 모듈 개발을 위한 시도들 : CommonJS, UMD, ES6 등CommonJSJS 공식 스펙에서 브라우저만 지원했었기에 SSR/데스크탑에서 지원하려는 노력이 CommonJS라는 그룹이었다. 여기에서는 JS가 범용 언어로 쓰였기 때문에 모듈화가 필요했다.다른 모듈을 사용할 때는 require, 모듈을 스코프 밖으로 보낼 때는 module.exports를 사용하며 Node.js에서는 현재 이 방식을 쓴다.exports vs module.exportsexports도 사용 가능하지만 차이가 있다. module.exports를 참조하기에 직접 module.exports 값을 바꾸지 않고 객체 멤버를 생성하..

🐝 웹 성능 최적화 시리즈 🐝 웹 성능 최적화 여정(0) - 이미지 최적화를 통한 성능 개선 방법 프로젝트에서 로딩이 오래 걸리는 부분들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무거운 애니메이션과 3d 이미지들이 로딩되는 첫 화면 2️⃣ 이미지를 서버에 보내는 썸네일 업로드 화면과 선물 등록 화면 3️⃣ 이미지를 서버에서 가져와 보여주는 카드 컴포넌트들 용량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나름대로 여러 방법을 찾아보고 고민한 결과, 아래와 같이 해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번의 경우, webP로 변환 가능한 것들은 변환해서 사용하기 2번과 3번의 경우, 사진 업로드 시 프론트 단에서 이미지 용량을 압축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서버에 보내기 + 백에서 CDN을 적용하면 사진 사이즈와 포맷 형식(webP로) 지정해서 서버 통신하..
리액트에서 최적화를 위해 쓰이는 대표적인 메모이제이션 기법들인 useMemo, useCallback, 그리고 고차 컴포넌트 memo. 렌더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개념들인데, 언제 어떻게 얼마나 자주 쓰는 것이 좋은지 대답하기가 어렵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뉜다. 메모이제이션에 대한 두 가지 입장 입장 1. 메모이제이션은 정말 필요한 곳에서만 메모이제이션도 결국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곳에 최적화를 하겠다고 메모이제이션을 남발하게 되면 섣부른 최적화(premature optimization/memoization)로 인해 메모이제이션을 통한 성능 개선 정도 < 렌더링 비용일 수도 있다. 따라서 렌더링이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해서 필수적인 ..

아직 기술블로그 이전을 제대로 하지 못했지만 그냥 올려버리는 글!ㅎㅎ 릴리즈 준비 과정에서 현재 우리 서비스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이미지 로딩 속도라고 느꼈습니다. 서비스 특성상 다양한 여러 이미지들을 등록하고 불러와야 하는데, 용량 때문에 로딩이 굉장히 길어져 사용성이 떨어졌습니다. 사용한 성능 검사 툴과 관련된 내용은 아래 글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 성능 검사하기 - Lighthouse, PageKeeper] 따라서 프론트와 백 모두 이미지 최적화를 통한 서비스 성능 개선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가 진행할 이미지 최적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프론트] 1. 이미지 업로드 시 이미지 용량 압축 라이브러리 사용(react-image-file-resizer) 2. 서버에서 가..
JSX XML과 유사한 내장형 구문이고 페이스북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문법이다. 즉, ECMAScript(자바스크립트 표준)의 일부가 아니다. 따라서 JSX를 바로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하고, 꼭 트랜스파일러를 통해 JS 코드로 변환해야 한다. JSX에 트리 구조로 표현할 것들을 작성해두면 트랜스파일을 통해 JS가 이해 가능한 코드로 변경하는 것이 JSX의 목표이다. 이전에 JS 내부에서 표현하기 까다로웠던 XML 스타일 트리 구문 작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문법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JSX의 4가지 컴포넌트 1. JSXElement JSX의 가장 기본 요소. 마치 HTML의 element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JSXElement의 형태 종류 JSXOpeningElement: 여는 태그 느낌..
이제는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찾기 힘들 만큼, 타입스크립트는 선택보다는 필수에 가까워지고 있는 느낌이다. 타입스크립트가 2014년 출시되었지만 2021년 기준 어느새 4위를 기록하고 있는 언어가 될 수 있게 한 TS만의 매력은 무엇일까? 타입스크립트의 특징 TypeScript is JavaScript with syntax for types.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언어이다. 따라서 JS는 런타임에만 타입 체크가 가능하다. 즉, 코드를 실행해서 에러가 났을 때 비로소 타입 에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타입스크립트는 JS의 문법에 타입을 추가해 이런 위험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타입 체크를 정적으로 빌드(트랜스파일) 타임에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훨씬 안전하고 버그를 예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