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단계
-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 들어갈 데이터가 무엇인지 결정(분석단계)
- 현실 데이터를 어떻게 MySQL에 옮길지 결정하는 과정
모델링 과정
- 개념적 모델링 : 업무 분석 단계에 포함
- 논리적 모델링 : 업무 분석 후반부와 시스템 설계 전반부 걸쳐 진행
- 물리적 모델링 : 시스템 설계 후반부에 주로 진행
관련 용어
- 데이터 : 단편적인 정보
- 테이블 : 데이터 입력을 표로 표현한 것. 릴레이션, entity set이라고도 부름.
- DB : 테이블 저장소. 각 DB는 서로 다른 고유한 이름을 가짐.
- DBMS : DB 관리 시스템/SW
- 열(=컬럼, 필드)
- 열 이름은 테이블 내에서 고유해야 함(중복 X)
- 행(로우, 레코드, 투플) : 실질적인 데이터
- 키 : 하나의 튜플을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 기본 키
- 중복 불가
- 식별 데이터
- 비어 있으면 안 된다
- 각 테이블별 하나만의 기본 키 존재
- 외래 키 : 두 테이블 관계를 맺어주는 키
- SQL : 구조화된 질의 언어로, 사람과 DBMS가 소통하기 위한 언어
- 스키마: 인텐션이라고도 함.
- 도메인: 나올 수 있는 모든 조합
- 엔티티: 릴레이션 인스턴스 하나를 지칭.
- ACID : DBMS의 조건 원칙 네 가지. 다 지킬 필요는 없고 있다는 것만 알면 된다.
설계
- 구축하려는 시스템을 ‘어떻게’ 할지 결정
- char는 글자수 단위로 카운트(바이트 수 아님!)
테이블 외 DB 개체 활용
인덱스
- DB 튜닝 개념
- 성능 향상
- 쿼리 응답 시간 단축
- 데이터 양 많을수록 효과적
- 테이블 열 단위에 생성된다.
Stored Procedure
- SQL문을 하나로 묶어 사용
- 실무에서는 주로 SELECT문을 Stored Procedure로 만든 후 이걸 호출해서 사용한다.
Trigger
- 테이블에 부착되어 INSERT, UPDATE, DELETE 작업 발생하면 실행되는 코드
- 예) 탈퇴회원 관리 기능
DB 백업 및 관리
백업
- 현재 DB를 다른 매체에 보관
복원
- DB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매체에 백업된 데이터로 원상태로 돌려놓는 작업
- 백업, 복원은 DBA(DB 관리자)가 할 가장 중요한 일
기타 추가 내용
- 주가 되는 쪽이 부모 테이블
- 외래 키로 부모 테이블에서 단 하나의 유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새 데이터 들어갈 때는 부모 테이블에 먼저 넣어야만 한다 ⇒ 삭제 시에는 자식 테이블에서도 지우기
- 부모 테이블 PK = 자식 테이블 FK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 테이블 (2) | 2025.06.15 |
---|---|
[DBMS] SQL 고급 문법 - 데이터 타입, 내장함수 (4) | 2025.06.14 |
[DBMS] SQL 기본 개념 (0) | 2025.06.14 |
[DBMS] DBMS 개념과 특징 (1) | 2025.06.10 |
[TIL] MongoDB (1) | 2025.05.26 |